전체 글

Study Log/클린코드

[클린코드] 코드의 점진적인 개선

클린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저분한 코드더라도 작성한 후에 정리하는 것이 좋다 깔끔한 작품을 내놓으려면 단계적으로 개선해야한다는것을 기억해야한다. 이 책에 따르면 , 프로그램을 망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개선 이라는 이름 아래 구조를 크게 뒤집는 행위이다. 어떤 프로그램은 그저 그런 개선에서 결코 회복 하지 못하기도 한다. 그래서 테스트 주도 개발(tdd)가 중요하다. TDD는 언제 어느때라도 시스템이 돌아가야 한다는 원칙을 따르기 때문에 변경 후에도 시스템이 변경 전과 똑같이 돌아가야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테스트 슈트 작성이 필요하기도 한다. 변경이 있을 때마다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테스트 하면서 수정하여 개선해 나가면 시스템을 많이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코드는 언제나 최대한 ..

Study Log/Azure

[AZ900] 클라우드 서비스 - 소비 기반 모델(Consumption-based model)

클라우드 개념 설명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과 고려사항 소비기반 모델 (Consumption-based model) 특징 - 선 결제 비용 없음 - 비용이 많이 드는 인프라를 구매하고 관리할 필요 없음 -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만 추가 리소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음 -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리소스에 대한 지불을 중지할 수 있음 이러한 특징들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더 정확한 비용 예측 가능 개별 리소스와 서비스의 가격 제공 실제 사용량을 기준으로 대금이 청구됨

Study Log/Azure

[AZ900] 자본지출(CapEx) 과 운영비용(OpEx)의 차이

#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과 고려사항 확인 자본 지출과 운영비용의 차이 1. 자본지출 (CapEx : Capital Expenditure)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지출을 미리 지불하는 것.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금계산서에서 비용을 공제한다.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투자 가치는 시간이 지날 수록 감소한다. 조금더 쉽게 이해해보면 자본지출은 컴퓨터 본체 하나를 산다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로 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물리적 비용을 먼저 들인다는 개념이다. 2. 운영 비용(OpEx : Operational Expenditure) 필요에 따라 서비스 또는 제품에 지출되고 즉시 청구된다. 같은 해에 세금계산서에서 비용을 공제한다. 선 결제는 없고 사용한 만큼 결제하는 종량제 사용이다. 이..

개발하는 채찡
천천히 하나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