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Study Log/코딩테스트

[그리디] 당장 좋은 것만 선택하는 그리디 - 거스름돈 예제

그리디 알고리즘이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매순간 가장 좋아보이는 것을 선택하며, 현재의 선택이 나중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최단경로문제는, 플로이드 워셜 혹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과 같은 알고리즘을 미리 알고 있어야 가능하다. *플로이드 워셜(Floyd Warshall) : 변의 가중치가 음이거나 양인 가중 그래프에서 최단 경로들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을 한 번 수행하면 모든 꼭짓점 쌍 간의 최단 경로의 길이을 찾는다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 도로 교통망 같은 곳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그래프에서 꼭짓점 간의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위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추후 더 공부해보겠다. 보통 코딩테스트에서 출제되는 그리디 알고리즘 유형의 문..

Study Log/클린코드

[클린코드] 동시성 : 여러 스레드를 동시에 돌리는 이유와 어려움

| 동시성이 필요한 이유 동시성은 결합을 없애는 전략이다. 무엇과 언제를 분리하는 전략이다. 스레드가 하나인 프로그램은 무엇과 언제가 서로 밀접하다 무엇과 언제를 분리하면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효율이 극적으로 나아진다. 어떤 시스템은 응답 시간과 작업 처리량 개선이라는 요구사항으로 인해 직접적인 동시성 구현이 불가피하다. 많은 사용자를 동시에 처리하면 시스템 응답시간을 높일 수 있다. | 동시성에 대한 미신과 오해 - 동시성은 항상 성능을 높여준다? 동시성을 때때로 성능을 높여준다. 대기시간이 길거나 여러 프로세서가 동시에 처리할 독립적 계산이 많은 경우에만 그렇다. - 동시성을 구현해도 설계는 변하지않는다? 무엇과 언제를 분리하면 시스템 구조가 크게 달라진다. - 웹 또는 ejb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동..

Study Log/클린코드

[클린코드] 창발성을 높이는 네가지 설계 규칙

켄트 백이 제시한 단순한 설계 규칙 네가지를 지키면 소프트 웨어 설계 품질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한다. | 켄트백의 규칙 네가지 (중요도순) - 모든 테스트를 실행한다 - 중복을 없앤다 - 프로그래머의 의도를 표현한다 -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인다 단순한 설계 규칙 1 : 모든 테스트를 실행하라 설계는 의도한 대로 돌아가는 시스템을 내놓아야 한다.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어 무조건 통과하는 시스템이야말록 ‘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는 크기가 작고 한가지 목적만 수행하는 클래스를 만든다. 단일 책임의 원칙을 준수하는 클래스는 테스트가 훨씬 쉽다. 의존 관계 역전 원칙을 적용하고, 의존성 주입, 인터페이스, 추상화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 결합도를 낮추면 설계 품질이 ..

프로그래밍 언어/Cloud

[AWS] AWS 기초 인증 자격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증 시험 준비 1

Cloud 환경 작업이 늘어가면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관심이 높아지고 이제는 안쓰는 서비스가 더 적을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중 하나인 AWS 현재 내가 하고 있는 프로젝트도 AWS Cloud Service를 이용하고 있는데 기본적인 개념이 부족한 상태로 시작하다보니 문제가 발생해도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세팅하는 법도 잘 모르고 그래서 좀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AWS를 사용한지도 어연 5개월이 다되어가는데 이참에 클라우드 공부도 다시 할까 싶어서 이전에는 MSA 공부를 했었지만, 이번엔 AWS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이러다가 MSA 공부를 다시 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번에 적은 성과목표가 있어서 ㅎ) 우선 해당 시험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AWS ..

Study Log/클린코드

[클린코드] 시스템 수준에서 깨끗한 코드를 유지하는 법

1. 시스템 제작과 시스템 사용을 분리하라 - 제작은 사용이 아니다. 👉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애플리테이션 객체를 제작하고 의존성을 서로 '연결' 하는) 준비과정과 (준비 과정 후에 이어지는) 런타임 로직을 분리해야한다. 시작단계 : 관심사 분리 1) Main 분리 : 시스템생성과 시스템 사용을 분리하는 방법 생성과 관련한 코드는 모두 main이나 main 이 호출하는 모듈로 옮기고, 나머지 시스템은 모든 객체가 생성되었고 의존성이 모두 연결되었다고 가정할 때, main에서 시스템에 필요한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애플리케이션에 넘겨 사용하도록 한다. 2) 팩토리 ABSTRACT FACTORY 패턴 (추상 팩토리 패턴) 추상 팩토리 패턴은 다양한 구성 요소 별로 '객체의 집합'을 생성해야 할 때 유용하다...

개발하는 채찡
'개발자'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