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과 고려사항 확인 자본 지출과 운영비용의 차이 1. 자본지출 (CapEx : Capital Expenditure)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지출을 미리 지불하는 것.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금계산서에서 비용을 공제한다.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투자 가치는 시간이 지날 수록 감소한다. 조금더 쉽게 이해해보면 자본지출은 컴퓨터 본체 하나를 산다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로 할 수 있는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물리적 비용을 먼저 들인다는 개념이다. 2. 운영 비용(OpEx : Operational Expenditure) 필요에 따라 서비스 또는 제품에 지출되고 즉시 청구된다. 같은 해에 세금계산서에서 비용을 공제한다. 선 결제는 없고 사용한 만큼 결제하는 종량제 사용이다. 이..
NLU 기술의 발전 과정을 살펴 보면 현재까지 다양한 기술의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워드 임베딩은 Neural Probabilistic Language Model(NPLM)이 발표된 이후부터 Word2Vec > FastText > ELMO > BERT 기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자연어 처리 언어 모델 중 구글이 공개한 언어모델인 BERT 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 BERT란? 'BERT' 는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의 약어로, 원어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transformer의 양방향 encoder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encoder는 입력 값을 숫자의 형태로 바꾸는 모듈을 의미한다. 따라서 BERT는 문맥을..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의 종류 중 하나이다. 그래서 쿠버네티스의 개념을 알아보기 전에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해서 미리 개념을 익혀두자.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Container Orchestration) 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하는 기술로, 복잡한 컨테이너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입의 시작 서버를 관리한다는 것은 서버의 상태를 관리 한다는 것이다. 서버 상태 관리를 잘하기 위한 방법들을 몇가지 생각해보지만 계속해서 한계점이 있었다. 1. 문서화를 잘해보자. > 생각보다 안되는 예외 케이스들이 생긴다 2. 서버관리 툴을 써보자 (chef, puppet labs, ansible..) > 툴을 이용하여 설정하..
AI(인공지능)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자연어 처리 (NLP). 위에 대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자연어"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자. "자연어" 자연어 혹은 자연 언어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언어인 인공어와 구분하여 부르는 개념이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 떨어져서 살아가면서 자연적으로 말이 점점 바뀌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채 분할되면서 생성된다. 간단히 예를 들자면,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하여 말을 할 때 서울에서만 살았던 사람이 바로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것과 같다. 그렇기에 컴퓨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를 바로 이해할 수 없다. 그래서 자연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자연 언어 처리 (NLP) 자연어 처리 또는 자연..
# DevOps "제품의 변경 사항을 품질의 보장하면서 프로덕션에 반영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실천 방법의 모음" DevOps 란 , 소프트웨어의 개발(Develop)과 운영(Operate)의 합성어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정보기술 전문가 간의 소통, 협업 및 통합을 강조하는 개발 환경이나 문화를 말한다. 실제 IT 조직의 운영을 보면, 개발조직과 운영 조직이 따로 존재하여 그 사이에서 이해도의 차이 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던것들을 극복하고자 개발조직과 운영조직을 하나의 팀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문화이자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 DevOps의 시작 2009년 O'Reilly Velocity Conference 2009년 DevOpsDays Ghent 패트릭 드부아(Patrick Debois..